본문 바로가기
지원

놓치기 쉬운 연말정산 : 의료비 공제

by 위례부부 2023. 1. 30.

제가 실무를 하다보면, 가장 질문도 없고 안타까운 항목이 바로 의료비인데요. 많이들 몰라서 공제를 못받으시는 것 같아서 나름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에 올려봅니다.

 

의료비는 세액공제 항목이며, 진찰료나 의약품비 등에 대한 공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총 급여액의 3%를 초과했을 때 공제가 가능하며, 한도는 연 700만원입니다.

 

의료비에 가장 중요한 점은 연령이나 소득 금액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기본공제 대상자가 아니더라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생계를 같이 하는 부양가족이어야 함)


같이 살고 있지 않은 부모님의 의료비

실제로 생계를 같이 하는 부양가족이라면, 나이나 소득요건에 벗어나더라도 의료비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다만, 부모님의 기본공제는 다른 사람이 받고, 의료비 세액공제만 본인이 받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같이 살고 있는 형제, 자매의 의료비

주민등록등본을 뗐을 때, 함께 거주하고 있다는 것이 증명이 된다면, 나이와 소득에 관계없이 의료비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혹시 따로 살고 있더라도 따로 사는 것이 형편상 어쩔 수 없는 경우이고, 생계를 같이 하는 부양가족의 일원이라면 공제가능합니다.

 

 

 

맞벌이부부의 자녀 의료비

기본공제를 받는 쪽의 사람이 공제를 받는 것이 맞습니다. 남편은 자녀 기본공제를 받고, 아내는 자녀 의료비 공제를 받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남편이 자녀 기본공제를 받았으면, 자녀 의료비 공제도 받는 것이 맞고, 반대로 아내가 기본공제를 받았다면, 의료비 또한 받는 것이 맞습니다.

 

간혹 총 급여 때문에 기본공제를 급여가 많은 사람이 받고, 의료비는 최소 금액이 있기 때문에 급여 적은 사람이 받는 등의 모순이 생기는데, 그럴 경우 둘 다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합니다. 


약국에서 구매하는 것은 모두 가능한지?

기본적으로 의약품은 모두 공제가 가능하지만, 건강기능식품류의 구매는 제외됩니다.

 

 

 

입원환자의 식대는 공제가 가능한지?

식대가 의료비에 포함되어 있다면, 공제가 가능합니다.

 

 

 

의료비를 신용카드로 결제한 경우, 중복공제가 가능한지?

의료비를 신용카드로 지불한 경우, 의료비 세액공제도 가능하고 신용카드도 공제 가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