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

[상테크] 실제 활용하는 카드 3장 사용후기 (신한카드, 현대카드)

by 위례부부 2023. 5. 16.

혹시 상테크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상품권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카드로 상품권을 구매해서 이익을 얻는 방법을 말합니다. 예전에는 할인폭이 큰 딜을 찾아서 차익실현도 하곤 했는데, 요즘은 카드 혜택을 받는 것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원래 상테크 가능 카드라는 것은 상품권 구매 내역을 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카드를 말했는데, 상품권 구매 내역을 실적으로 잡아주지 않는 카드도 상테크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오늘 보여드릴게요.

 

 

 

목차
사용하는 상테크 카드
상품권 충전&포인트 전환
포인트 현금화

 

 

 

저도 이제 막 상테크를 시작했는데요. 현재 사용하는 카드는 3개입니다. 상테크를 하는 고수분들에 비하면 터무니없이 부족한 숫자긴 한데, 처음이라 그런지 3장 채우는 것도 나름 버겁더라구요. 그래도 한 달, 두 달 조금씩 경험이 쌓이니, 상테크에 투자하는 시간도 제법 줄어들고, 이 정도면 카드를 늘려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추후 상테크 카드를 늘려보고, 추가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현재 제가 사용하는 3장의 카드에 대해서 상품권 구매부터 현금화하여 계좌에 입금하는 내용까지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사용하는 상테크 카드

[신한카드 Deep ECO]
[신한카드 YOLO Tasty]
[현대카드 LG헬로비전 M Edition2]

※ 카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각 카드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신한카드 Deep ECO

저는 딥 에코 카드에 관리비와 인터넷&TV 사용요금을 자동이체 시켜놓습니다. 카드 설명을 보고 오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딥 에코 카드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가 바로 아파트 관리비를 실적으로 인정해준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관리비와 인터넷 요금 정도를 실적으로 만들면 대략 30만원의 실적이 완성됩니다. 관리비와 인터넷 요금은 어차피 자동이체로 해놓으시잖아요? 혹시 모자르시다면, 카드 납부 가능한 보험료를 자동이체 시켜놓는 방법도 있습니다. 자녀가 있으신 분이라면, 학습지 등 교육료를 해놓으셔도 됩니다.

 

지금은 상테크 카드가 많지 않아서 컬쳐랜드, 해피머니 상품권만 구매를 해봤는데요. 몇 달을 지켜본 결과, 7.8% 할인된 가격에는 자주 뜨더라구요. 보통 5만원권이 많이 뜨니까, 46,100원에 구매를 합니다. 물론 가끔 46,050원에도 뜨지만, 품절 속도가 너무 빠르고 저같은 초보는 저 가격에 한 번도 사지 못할 정도의 스피드입니다.

 

아무튼 딥 에코 카드로 5만원짜리 상품권을 13장 구매합니다. 물론 7.8% 할인된 46,100원에 구매를 하죠. 그러면 599,300원을 결제하게 됩니다. 그렇게 하면 익월 카드대금이 빠져나가고나서  29,965원을 캐시백으로 받게 됩니다. 여기에 운동 좋아하시는 분들은 신한플레이 앱을 켜고, 한 달에 15일 이상 만보를 걸으시면 5천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저도 몇 달째 노력은 하는데, 성공은 못했어요.

 

신한카드 YOLO Tasty

욜로 테이스티 카드 같은 경우는 실적에 따라서 할인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상황에 맞춰서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물론 욜로 테이스티 카드는 상품권 구매 내역도 실적으로 인정해주기 때문에 상품권만으로 실적을 채우셔도 됩니다만, 신용카드의 경우에는 카드사별로 월 100만원이라는 상품권 구매한도가 있어서 위에 설명드린 딥 에코 카드로 이미 60만원어치의 상품권을 구매했기 때문에 최대 40만원까지밖에 사실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욜로 테이스티 카드로 아이들 교육료와 카드납부 가능한 보험료 등을 자동이체 시켜서 실적을 어느정도 확보를 하고, 매월 20~40만원 사이로 상품권을 구매합니다. 전월 실적이 120만원이면, 4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상품권 구매를 제외하고 80만원의 실적을 채울 수 있다면, 40만원어치 상품권을 구매하지만 그 정도의 실적을 채우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40만원 실적을 채우고, 상품권은 20만원어치만 구매합니다. 그렇게 하면 2만원 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캐시백으로 주는 딥 에코 카드와 달리 욜로 테이스티는 할인을 해줍니다. 친절하게 할인받은 금액과 남은 할인한도를 알려주기 때문에 보면서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가끔 소셜커머스에서 구매할 것들이 있어서 할인한도가 조금 틀어지기도 하지만, 어차피 할인은 받은 거니까요.

 

현대카드 LG헬로비전 M Edition2

현대카드지만, 위 카드를 청구할인형으로 사용하시면 M포인트는 적립되지 않습니다. 이 카드는 철저하게 통신비 할인카드로만 사용하셔야합니다. 통신비만 할인받기에는 정말 최고의 카드라고 할 수 있는데, 상품권 구매를 실적으로 인정해주기 때문인데요. 전월 실적 30만원이면, 무려 17,000원을 할인해줍니다. 제가 알뜰폰을 사용중인데, 프로모션으로 16,990원 요금제를 쓰고 있기 때문에 상품권 구매로만 30만원어치 구매하게 되면, 통신요금은 거의 공짜로 쓰는 셈입니다. 물론 정확하게 따지면 수수료 등 몇 백원을 지불하고 쓰는 것이 되겠지요.

 

상품권은 주로 티몬, 위메프 등을 통해서 구매합니다. 서두에 말씀드린 것처럼 7.8% 할인한 금액으로는 꽤 자주 뜨기 때문에 실적 채우시는 데에는 무리없으실 겁니다. 혹시 결제 중에 발행 가능한 PIN이 부족합니다 라는 메시지가 뜬다면, 해당상품이 품절됐다는 뜻이기 때문에 다른 딜이 뜰 때까지 기다렸다가 구매하셔야합니다.

 

 

 

상품권 충전&포인트 전환

상품권 충전

주로 컬쳐랜드와 해피머니 상품권을 많이 구매하게 되는데요. 각 어플이나 홈페이지에서 충전을 해주면 됩니다. 컬쳐랜드는 문자로 링크가 함께 오는데 클릭하면, 바로 충전이 가능해서 조금 더 편리한 것 같아요. 해피머니처럼 상품권 번호를 입력해야하는 경우에는 모바일보다는 PC로 하시는 것이 조금 더 편리해요. 컬쳐랜드 상품권을 충전할 때는 모바일에서 "문자-어플" 이런 식으로 충전하고, 해피머니는 문자의 상품권 번호를 보고 PC로 입력하여 상품권을 충전합니다.

 

포인트 전환

아직 페이코 한도를 넘길 정도로 상품권을 구매하지는 못해서 페이코만 이용해봤는데요. 페이코 충전에 들어가시면 컬쳐랜드를 충전하는 메뉴가 있고, 해피머니를 충전하는 메뉴가 각각 있어요. 해당 항목 터치하셔서 충전하시면 됩니다. 페이크 포인트로 충전하는 수수료는 8%입니다. 저희가 보통 7.8% 할인된 금액으로 상품권을 사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0.2% 손해가 발생하는데요. 한 달에 100만원어치의 상품권을 구매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손해보는 금액은 2천원입니다. 그런데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적어도 3만원+2만원+1.7만원 할인을 받기 때문에 괜찮은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포인트 현금화

마지막 과정은 페이코 포인트를 현금으로 환급받는 단계인데요. 페이코 포인트로 전환하고 바로 환급신청을 하면, 환급가능한 금액이 0원이 나올 거에요. 최소 1원을 다른 포인트로 전환을 시켜주고, 계좌로 입금 받으시면 됩니다. 저는 주로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하며, 쇼핑으로도 실제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 포인트로 전환시켜줍니다.

 

예를 들어, 상품권 50만원어치를 구매하여 페이코 포인틑로 바꾸면, 46만 포인트가 되잖아요. 거기서 네이버 포인트로 1포인트를 전환시켜줍니다. 그러면 계좌로 입금가능한 금액이 459,999 포인트로 표기가 됩니다. 그럼 전체 금액을 계좌로 입금시키시면 끝입니다.

 

※ 포인트 현금화 한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