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이 평생 일을 해서 집 한채 정도 장만하고 은퇴를 하는데요.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 외 별다른 소득원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평생 열심히 일해서 집 한채 장만했는데, 은퇴 후, 소득이 없어서 집을 팔고 전세, 월세 등으로 옮겨서 생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너무나 어려운 일입니다. 주택연금이라는 제도는 본인이 살고 있는 집에서 계속 거주하면서 그 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주택연금이란?
주택연금이란 집 주인이 집을 담보로 제공하고, 그 집에 계속 거주하면서 평생(본인 및 배우자 사망시까지) 매월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국가가 보증하는 제도로 부부 중 한 명이라도 만 55세 이상이고, 공시가격 9억원 이하의 주택 또는 주거 용도 오피스텔을 소유하신 분이라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주택자인 경우에도 합산 가격이 9억원 이하이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연금지급액은 소유하신 주택의 가격과 가입자의 연령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아파트의 경우에는 한국부동산원 시세, KB국민은행 시세를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아파트가 아닌 주택같은 경우에는 감정기관의 감정평가를 통해 가격이 결정됩니다. 부부가 가입하는 경우, 나이가 어린 사람을 기준으로 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월지급액은 많아지고, 어릴수록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주택연금 수령방식
종신방식
매월 동일한 금액을 수령하는 정액형이 있고, 가입 초기 일정 기간은 정액형보다 많이, 이후에는 정액형보다 적은 금액을 받는 초기증액형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초기에는 정액형보다 적게 받지만, 3년마다 4.5%씩 일정하게 증가한 금액을 수령하는 정기증가형이 있습니다.
확정기간방식
가입연령에 따라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중 선택한 일정 기간 동안 매월 동일한 금액을 수령하고 평생 거주하는 방식이며, 대출한도의 5%를 의무설정 인출한도로 설정해서 운영하게 됩니다.
주택연금 예상수령액 계산기
주택연금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제공하는 예상연금조회를 이용해보시면 되는데요. 유형을 나눠서 입력하시면, 현 주택으로 주택연금에 가입했을 때, 월마다 받을 수 있는 예상 연금 수령액을 조회해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