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말하는 것으로 각종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자료입니다. 매년 자료에 더하여 최근 경기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매년 결정되는 값입니다. 코로나가 발생하고나서 생활지원금을 지급하는 조건으로도 많이 이용됐고, 우리가 지원받는 사업들의 기준은 보통 중위소득을 준용한다고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왜 필요할까?
기준 중위소득이란 전 국민을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선 사람의 소득을 중위소득이라고 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그 아래 소득에 대해서 각종 지원을 하게 되는 근거가 생기는 건데요. 예를 들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에 해당하시는 분들에게는 교육급여를 지급하고, 40% 이하이신 분들에게는 의료급여를, 그리고 30% 이하 분들에게는 생계급여를 지급하는 등 말이죠.
그럼 기준 중위소득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기존 자료를 중심으로 각종 지표들을 고려하는데요. 가계동향조사 자료, 급여수준자료, 소득자료 등과 최근 발생된 추가 이슈들을 종합하여 결정됩니다.
연도별 기준 중위소득
[단위 : 원 / 월]
* 2023년 중위소득 150% 소득기준
[단위 : 원 / 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