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

4월 부가세 무실적 신고방법

by 위례부부 2023. 4. 11.

4월은 부가가치세, 일명 부가세 신고, 납부하는 달입니다. 신고4월 1일부터 4월 25일까지고, 납부기한4월 25일까지입니다. 부가가치세가 고지되는 분들은 당연히 납부하실 거고, 이럴 때 애매한 분들이 있죠. 바로 실적이 없는 무실적 사업자분들인데요. 실적이 없으니까 신고 안해도 되겠지? 라는 분들은 이 포스팅 정독하시고, 꼭 무실적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부가세 무실적 신고방법

먼저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을 합니다.

홈택스 바로가기

네 번째에 있는 신고/납부 메뉴로 들어가주세요.

 

 

 

맨 오른쪽에 있는 세금신고 메뉴 중에서 첫 번째에 위치한 부가가치세를 클릭해주세요.

 

 

 

첫 번째에 있는 정기신고(확정/예정)를 클릭해줍니다.

 

 

 

기본정보 입력하는 란이 나오는데요. 스크롤을 끝까지 내려보시면, 무실적신고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눌러서 무실적신고를 해주시면 끝입니다.

 

 

 

 

 

부가세 무실적 신고이유

실적이 없는데 왜 신고를 해야하지? 하시는 분들 계실 거에요.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부가세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사업자가 판매하는 제품에는 대부분 부가세 10%를 포함시켜서 소비자에게 받습니다. 저희는 10%의 부가세를 소비자로부터 받아서 보관하다가 부가세 신고기간에 신고하고 국세청에 납부하는 겁니다.

 

자, 그럼 나는 매출, 매입 실적 자체가 없어! 하시는 분들 계실 거에요. 그런 분들은 간단하게 무실적 신고를 하실 수 있습니다. 신고를 안하면 지자체에서 사업을 하지 않는 사업자로 판단하여 직권으로 휴업이나 폐업을 시킬 수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피해야겠죠? 무실적 신고는 간단하게 할 수 있으니까 꼭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