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때부터 지금까지 스테디셀러라고 표현해도 좋을 정도로 꾸준히 인기있는 ISA 계좌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합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ISA 중개형 계좌에 대해서 포스팅을 할게요. 그런데 ISA 계좌의 장점만큼이나 궁금한 것이 바로 단점 아닐까요? 현명한 소비자들이 평점 낮은 순으로 리뷰를 체크해보는 것처럼 말이죠. 오늘은 ISA 계좌 단점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ISA 중개형 계좌 단점
3년의 의무가입기간
기존에도 지적됐던 가장 큰 단점은 의무가입기간이었습니다. 5년이었는데, 3년으로 단축된 건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래도 3년이라는 의무기간이 짧은 것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반쪽자리 자유로운 입출금
ISA 계좌는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금저축과 차별화되는 장점이라고 홍보를 합니다. 그런데 저는 반쪽짜리 자유로운 입출금이라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수익에 대해서는 출금이 불가하기 때문이죠. 그래도 연금저축상품 등에 비하면, 원금이라도 출금되는 게 어디인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ISA 중개형 계좌
ISA 계좌는 세 가지 분류가 있는데요. 기존에 있던 유형이 신탁형, 일임형 유형이고, 2021년에 중개형이 추가되었습니다. 중개형은 투자에 있어서 자유도가 매우 높은 상품으로 ISA 계좌의 성격에 가장 맞는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SA 계좌가 물론 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는 하지만, 투자에 관심있는 분들이 많이들 개설하는 계좌이기 때문에 다른 두 가지 유형보다는 중개형이 좋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또한 점점 주식투자 수익실현에 대해 수수료, 세금 등을 더 부과한다는 뉴스들이 나오면서 ISA 중개형 계좌가 더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ISA 계좌에 대해서
제가 오늘 전달하고자하는 핵심내용은 위에 전달했으니, 시간없으신 분들은 여기까지만 보셔도 됩니다. 이번 문단에서는 ISA 계좌가 뭔데? 하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ISA : Individaul Saving Account
즉, 개인 종합 자산관리계좌를 말합니다. ISA 계좌 하나만 개설하면, 여기서 주식투자도 할 수 있고, 펀드는 물론 예금·적금도 가능합니다. 한 마디로 만능통장입니다. 뿐만 아니라, 운영을 하다가 이익이 발생하면, 개별투자를 했을 때보다 절세효과도 분명합니다. 보통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면, 15.4%의 세금이 부과되지만, ISA 계좌를 통하면, 9.9%까지 세금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일반형의 경우에는 200만원까지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가입은 19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며, 만능계좌기 때문에 계좌 개설은 하나만 가능합니다. 납입한도는 연 2천만원까지 가능하며, 5년 간 1억까지 운영할 수 있습니다.
ISA 계좌는 운용방식에 따라서 세 가지로 구분하는데, 1. 일임형은 은행이나 증권사에 자금운용을 맡기는 방식입니다. 2. 신탁형은 직접 운용하는 방식이지만, 펀드나 ETF투자로 제약사항이 조금 있습니다. 3. 중개형은 투자하는 본인이 직접 주식투자까지 가능한 적극적인 운용방식입니다.
ISA 계좌 만들어야하나?
그래서 우리는 ISA 계좌를 만드는 것이 좋을까요? 네. 위에서 설명 쭉 보셨겠지만, 만들면 당연히 좋습니다. 안만드는 것보다는요. 그런데 많은 자금을 운영하고, 매번 수익을 내는 것이 아니라면 체감이 크지는 않습니다. 단순히 계좌를 개설하고, 일정금액을 이체하여 운영하는 것만으로 세금혜택, 즉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보고 싶으신 것이라면, ISA 계좌보다는 연금저축계좌를 운영하시는 편이 더 이익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