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테크] 수수료 가장 저렴한 웰컴페이 상품권 현금화하기
기존에 상품권 현금화 플랫폼으로 페이코와 포인트로페이를 소개해 드렸었는데요.
[현금화 플랫폼 수수료]
사실 어느 플랫폼이나 수수료가 같기 때문에 어디서 현금화를 하시든 상관이 없는데요. 저같은 경우에는 100만원까지는 무조건 웰컴페이로 현금화합니다. 웰컴페이가 월 현금화 한도가 적다는 단점이 있지만, 수수료율이 가장 좋거든요. 100만원 이상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어쩔 수 없지만 그게 아니라면 일단 웰컴페이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부분 현금화 시키는 플랫폼의 최종 수수료는 8%가량 됩니다. 9%까지 되는 곳도 있구요. 웰컴페이는 약 7.88%정도로 현금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아주 살짝 더 이익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웰컴페이를 통한 현금화
먼저 웰컴페이를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웰컴페이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웰컴저축은행에서 운영하는 페이 서비스로 상품권 현금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혜택들이 많아서 천천히 둘러보시면서 사용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상품권 충전 (6%)
어플 설치하시고, 접속하시면 맨 왼쪽 화면을 보실 수 있는데요. 가장 아래 메뉴 중에 "충전"을 선택해주세요. 저희는 먼저 문화상품권을 충전할 겁니다.
충전 메뉴에 들어오셨으면 "문화상품권"을 선택해주시고, 가지고 계신 상품권을 웰컴페이로 바꿔줍니다. 사진에서 보시는 것처럼 충전수수료는 6%가 차감됩니다. 여기까지는 다른 현금화 플랫폼과 비슷합니다. 차이를 내주는 것은 다음 단계입니다. 계속 보시죠.
출금 신청 (2%→1.88%)
출금은 첫 화면에서 "더보기"를 클릭해주시고, "출금 신청" 메뉴에서 출금이 가능합니다.
웰컴페이는 충전, 출금 두 번에 거쳐서 수수료를 지급하게 됩니다. 처음 충전하면서 수수료를 차감하기 때문에 원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 줄어드는 원금에 2%의 수수료를 적용하기 때문에 전체 금액으로 보면, 0.12% 이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100만원이 한도니까 100만원어치 상품권을 구매하여 현금화 시킨다고 가정해볼게요.
처음 충전하면서 제가 구매한 100만원은 94만원의 웰컴페이로 전환이 됩니다. 그리고 출금하면서 18,800원의 수수료가 차감되면서 저에게 남는 현금은 921,200원입니다.
① 1,000,000원 상품권
② 940,000원 웰컴페이
③ 921,200원 현금
웰컴페이를 제외한 다른 플랫폼을 사용했을 경우, 100만원 상품권이라고 가정하면, 제 수중에는 92만원의 현금이 남게 됩니다. 1,200원정도 이익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