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차개수2

인사담당자가 알려주는 연차개수 계산하기 법으로 정한 연차는 입사일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것이 원칙이나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편의상 회계년도 기준으로 연차를 계산하곤 합니다. 2020년 4월 1일 입사자라고 가정하고, 각 기준에 따른 연차개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연차휴가란? 연차휴가는 직장인들이 유급으로 쉴 수 있는 휴가로 법으로 보호 받는 법정휴가에요. 매년 일정한 일수 만큼 보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하게 사용하면서 재충전의 시간들을 가져야합니다. 또한 근로자가 정해서 쓸 수 있는 휴가로 요즘은 사유를 말하지 않고, 적지도 않는 것이 추세입니다. 이제 직원들에게 왜 연차쓰냐고 물어보시는 관리자분들은 없으시죠? 회계년도 기준 연차개수 많은 회사에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직원수가 많아지면 매월 연차수당을 계산하고 지급하는 것도 번거로운 일이 되겠죠.. 2023. 3. 28.
간단하게 연차수당 계산하는 방법 (회계년도, 입사일) 근로자도, 실무자도 헷갈리는 것이 연차인데요. 연차 관련된 기준들이 상당히 많은데, 주위에서 들은 지식들이 뒤죽박죽 엉켜서 헷갈리는 이유가 가장 큰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연차수당을 계산하는 기준에 대해서 얘기하려고 합니다. 그럼 연차수당을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을 먼저 알아야할텐데요. 크게 두 가지입니다. 통상임금, 연차개수입니다. 이렇게 보면 너무 간단하죠? 두 가지만 알면 되는데, 왜 이렇게 헷갈릴까 싶기도 한데요. 이 두 가지가 사실 굉장히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그래서 간단히 도출이 안되는 것 같아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두 가지 모두를 다룰 예정인데요. 먼저 연차개수부터 얘기해볼게요. 연차개수(회계년도) 연차개수는 크게 회계년도기준, 입사일기준 두 가지로 산정하는데요. 대부분의 회사가 회.. 2023.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