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

회계년도 연차수당과 입사일 연차수당 뭐가 이득이지?

by 위례부부 2023. 12. 28.

회사마다 연차수당을 지급하는 기준이 다를 거에요. 보통 인원 규모가 작으면 입사일, 입사월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규모가 좀 있는 회사들은 회계년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유는 간단한데요. 연차수당 등 급여 작업하는 편의를 위해서입니다. 입사일 기준으로 연차수당을 지급하게 되면, 매월 연차수당지급 작업을 해야하거든요.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입사일보다는 입사월이겠네요.

 

그렇다면 우리가 궁금한 건 차이가 날까? 입니다. 회사 재량으로 더 주고, 덜 주고를 떠나서 기준대로만 계산하면 어떻게 다른지 한 번 비교해볼게요.

 

 

 

회계년도 기준 연차수당

직원의 입사일, 입사월과 관계없이 매년 1월 1일에 모든 직원의 연차를 생성하고, 12월 31일에 종료를 하여 정산합니다. 보통 정산된 금액은 익월인 다음해 1월에 지급됩니다.

[간단하게 연차수당 계산하는 방법]

 

 

 

입사일 기준 연차수당

입사일이라고 많이 표현하지만, 입사월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본인이 입사한 달의 급여날 연차수당을 받게 됩니다. 사실 권장하는 연차계산방식은 입사일 기준입니다.

[인사담당자가 알려주는 연차개수 계산하기]

[연차수당 계산하는 방법]

 

 

 

회계년도 입사일 비교

자, 그럼 동일한 날 입사했을 경우, 어떻게 달라지나 한 번 볼게요.

입사일은 2018년 7월 1일로 가정하고,

비교하는 시점이 언제냐에 따라 차이가 나보이지만, 6개월 차이기 때문에 크게 신경을 쓰지는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퇴직시에는 입사일을 기준으로 재정산하여 연차수당을 덜 받았으면 그만큼 재정산해줍니다. 물론 더 지급한 경우에는 보통 그냥 그대로 둡니다만, 아닌 회사도 있더라구요.

댓글